2025년 7월 22일 화요일

✅ 1. 엔진 냉간/열간 상태에 따라 꺼지는 경우의 핵심 포인트

💢 현상 요약:

  • 시동 걸림 → 잠깐 후 꺼짐

  • 바로 재시동 안 됨

  • 일정 시간 지나면 다시 시동 잘 됨
    👉 "열받을 때 문제가 발생하는 센서나 시스템" 의심


🔎 우선 확인할 항목들


1. MAF 센서 또는 IAT (흡기온 센서)

  • 증상: MAF 센서 값이 불안정하거나 오염되면, ECU가 연료분사량 계산을 잘못하여 시동 유지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 점검법:

    • 시동 직후 MAF 값이 4~6g/s 범위 내인지 스캐너로 확인

    • MAF 센서 커넥터 분리 후 시동 → 변화 있으면 고장 가능성 높음

    • 흡기 내부 카본이나 센서 세척도 고려


2. 점화계통 (점화코일 or 이그나이터) 열팽창 고장

  • 증상: 열받으면 점화불량 발생 → 시동 꺼짐

  • 점검법:

    • 각 실린더 점화코일 저항값 확인 (냉간 vs 열간)

    • 시동 꺼질 때 스파크 점검기로 점화 확인

    • 점화코일 하나씩 교환식 테스트 또는 스캐너 Misfire 카운트 확인


3. ECU 리레이 (EFI 메인 릴레이)

  • 증상: 릴레이 내부 접점이 열 팽창으로 끊어짐 → 연료펌프, 인젝터 전원 차단

  • 특징: 냉간에는 잘 붙고, 열받으면 떨어짐

  • 점검법:

    • 시동 꺼질 때 EFI 릴레이 눌러보거나 교체해보기

    • 퓨즈박스 내 릴레이 온도 감지 후 냉각해서 재확인


4.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 (CMP)

  • 증상: 크랭크각 센서는 교환하셨지만, 캠센서가 간헐적 오작동할 경우 시동 유지 실패 가능

  • 점검법:

    • 스캐너로 엔진 RPM과 캠신호 동시 모니터링

    • 캠센서 신호 빠짐 발생 시 ECU가 연료 차단


5. ECU 자체 결함

  • 일본 도요타 초기 ZZE122 계열에서는 간헐적으로 납땜 불량 발생 사례 있음

  • 특히 열에 의해 내부 회로 불량이 발생하고, 식으면 정상 작동

  • ECU 내부 열화상 진단 혹은 테스트용 ECU 교체 장착해 비교 추천


6. 보조 공기유입(AAC, ISC, IACV) 관련

  • 증상: 시동 직후 공전 불안정 후 꺼짐

  • 특히 오염된 경우나 ECU가 제어를 못하는 경우 꺼짐 발생

  • IACV (Idle Air Control Valve) 작동 확인, 흡기 청소 등 필요


🔧 우선순위 정리

우선순위점검 항목설명
1EFI 메인 릴레이열간 시 고장 흔함, 간단히 교체 가능
2점화코일 또는 이그나이터열받으면 고장나는 대표 부품
3MAF 센서ECU에 연료 계산 오차 유발
4캠샤프트 센서간헐 신호 오류로 연료 차단 유도
5ECU 본체납땜 불량 또는 열간 회로 손상 가능
6IACV/흡기계통 오염공회전 제어 실패로 꺼짐 유발

🔍 추가 진단 팁

  • OBD2 스캐너 연결 → Live Data 확인

    • RPM, 캠/크랭크 신호, 점화 타이밍, 연료트림 등 모니터링

  • 시동 꺼지는 순간 점화스파크와 연료 인젝터 신호 동시 체크

    • 이중 어느 쪽이 먼저 사라지는지 파악하면 원인 좁혀짐

가장 많이 본 글